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부산진구의회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유튜브
  • 페이스북
  • 검색
  • 사이트맵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구민을 위한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하는

부산진구의회가 되겠습니다.

> 의정활동 > 의정활동사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회 - 의정활동사진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의정활동사진

5분 자유발언 2008-04-22

제175회 부산진구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박미점의원 5분자유발언

존경하는 이정환 의장님을 비롯한 선배동료의원여러분! 
반갑습니다. 
그리고 주민복리를 위하여 애쓰시는 존경하는 하계열구청장님을 비롯한 관계공무원 여러분 반갑습니다. 
저는 오늘 5분자유발언을 통하여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 지정 필요성”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양해를 구합니다. 
5분이란 한정된 시간관계로 유인물로써 제가 검토서를 드렸습니다.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날 기성세대는 청소년들을 위해 청소년 문화를 함께 즐기거나 동화되는 청소년문화의 장을 조성하는데 노력해야합니다.
이런 일환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청소년 문화존 사업을 하고 있으며, 종교단체 등에서도 년 중 1회성 길거리 문화행사사업을 하기도 합니다. 
이 문화행사들은 사업비 비용유발의 부담 등 거창한 이미지로 청소년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행사가 아니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주장하고자 하는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는 청소년들이 쉽게 어우러지면서 보편화될 수 있는 청소년 문화에 성인들이 지대한 관심을 갖고 개발·정착 시키자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지난날 청소년들이 동네 어귀에 모여 자치기, 돌치기, 고무줄뛰기, 팽이놀이, 제기차기 등 자연스럽게 동네 아이들이 어우러진 청소년 문화가 있었습니다. 

그 당시는 넓은 자연공간을 활용 가능한 시절의 청소년 문화였으나 오늘날은 도심의 복잡화로 청소년 길거리문화 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도심지 청소년들의 문화로는 팝핀, 비보이 등 여러 가지 청소년 댄스 등이 개발 발전 되는 등 그들 문화가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습니다만 아쉽게도 청소년 다수가 그들의 문화를 쉽고 간편하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이 없습니다. 

우리기성인들은 이런 점을 감안하여 청소년 문화에 관심을 갖고 청소년 길거리문화의 장을 마련하자는 것입니다. 

청소년 길거리문화의 장에는 팝핀, 비보이 등 여러 청소년 댄스의 장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노래, 미술품, 문학 전시 등도 할 수 있는 길거리 문화 공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산진구에서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 지정 적합장소는 서면지하상가, 롯데백화점 지하 진입로입구 광장, 지하로 광장, 유니온 시티 앞,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 광장, 자유총연맹 광장, 각 재래시장 등 여러 곳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면 철물상가 젊음의 거리 예정지는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 지정지로 적합하므로 적합장소로 꼭 개발해야 합니다. 
시설제공과 관리방식에서 시설은 마이크, 녹음기, 악기 등을 다루는데 필요한 전기 공급을 받을 수 있는 간단한 소켓 설치만 있으면 됩니다. 

전기료 부담은 그 거리에 인접해 이익 유발효과가 있는 대형업소나 한전에 협찬을 요청하면 될 것입니다. 

행사장 사용 신고방식으로는 동사무소나 구청에 간단한 신고식 절차로 행사장을 원하는 청소년들에게 무료로 제공 하는 규칙을 마련하면 될 것입니다. 

행사홍보방법은 각종 청소년단체, 각종 여성단체, 각 사회시민단체, 각 학교에 협조 요청을 하면 될 것입니다.     

청소년들의 여가 문화를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으로 유도 시키면 청소년들은 언제 어디서나 몇몇이 모여 스스로 쉽게 접근하여 자신의 끼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을 것이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부대 효과도 있습니다.

부산진구의 도시기능도 인구감축으로 점차 쇠퇴되고 있습니다. 부산진구는 도시기능의 회복을 위한 측면에서 오늘날 소비성이 급급히 늘고 있는 청소년들의 소비문화를 정착·활성화로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입니다. 

청소년 상설 길거리문화의 장을 열면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쇠퇴되어 가는 도심지 기능 회복과 동시 청소년들은 그들 문화를 통해 새로운 창의성과 도전력이 길러지고 사회에 대한 공동체의식과 책임의식이 함양되는 계기가 마련됩니다.

끝으로 존경하는 이정환의장님을 비롯한 선배 동료의원 여러분과 존경하는 하계열청장님께서 저의 제안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체 2,203, 249/27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