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부산진구의회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유튜브
  • 페이스북
  • 검색
  • 사이트맵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구민을 위한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하는

부산진구의회가 되겠습니다.

> 의정활동 > 의정활동사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회 - 의정활동사진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의정활동사진

5분자유발언 2008-06-30

제177회 부산진구의회임시회 4차본회의 홍순창 의원 5분자유발언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사업(아케이트시설)후 시장 활성화에 대한 대책

존경하는 이정환 의장님을 비롯한 선배동료의원 여러분! 그리고 하계열청장을 비롯한 공무원 여러분! 반갑습니다. 항상 구의정에 관심이 많으신 방청 주민 여러분! 반갑습니다. 기획총무위원회 홍순창의원입니다. 
지금 온나라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으로 인한 촛불시위와 유가 급등으로 인한 물가상승으로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난 속에 우리 영세 상인과 시민들은 하루하루가 걱정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이럴때일수록 우리 모두는, 구민에 가깝에 다가서는 모습과, 진정으로 구민을 위해 고민 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때라고  본의원은 생각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의원은 우리 서민과 밀접한 재래시장
활성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인식하여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아케이드 공사를 중점으로 매출의 변화 등에 대한조사 결과를 말씀드리고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전국적으로  2005년 전국 총 77개 시장에서 총사업비 
915억6,103만8,000원이 투입되었는데 그중 국비 541억9,740만원 지방비 329억4,734만원, 자부담 45억9,719만8,000원이 들었어며, 2006년에는 전국 총 75개시장의 총사업비가 924억1,140만원이 투입되었고, 그중 국비 541억9,740만원, 지방비 329억4,744만원, 자부담 45억9,719만8,000원을 들여 현재 공사를 마무리하여 각 개인 상인의 영업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부산은 2005년에 영도구 봉래시장이 아케이드 공사 및 하수구정비와 시장통로 포장 공사를 하였고, 강서구 명지시장이 아케이드 공사, 전기소방공사, 바닥타일공사, 조형물 설치 등 공사를 하였습니다. 
2006년에는 부산진구 부전상가시장 아케이드설치 중앙 통로 공사를 하였으며, 북구 정이 있는 구포시장에도 아케이드 공사 오륜회골목에 공사를 하였습니다. 2007년 과 2008년 현재도 계속적으로 전국 재래시장의 활성화 일환으로 아케이드공사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본의원이 말씀드리고자 하는 취지는 이렇게 막대하게 
국비와 지방비 자부담을 해서 들인 만큼 현재 재래시장  영업상태가 크게 호전되었는가에 대해 전국 시장상인회 회장님들 선별해서  조사한 결과,  아직까지 크게 영업 실태가 나아졌다는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영업 실태가 크게 나아지지 못한 이유는 
첫째, 현재 지역에 아케이드 공사로 인한 편리한 쇼핑환경이 바뀌었다는 홍보가 지역주민께 제대로 홍보가안되어있다는 것이며,

둘째,  환경이 바뀌었지만 재래시장의 서비스가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지금 각 재래시장 상인회에서도 이러한 서비스 개선을 위해 무진 노력을 하고 있지만  과거 재래시장을 이용한 고객의 잠재 되어있는 의식을 바꾸는데는 아직 역부족이라는 답변이였으며
셋째, 대형 마트처럼 소포장 판매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질 않다는 겁니다. 지금 핵가족 시대인 만큼 많은 양의 식품이나, 물건 구입을 지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처음엔 적은 돈으로 양이 많은 식품이나 물건으로 재래시장이인기를 끌었지만 이제는 남은 식품이 각종 병균과 곰팡이균에 노출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재래시장도 소포장을 해서 판매를 하는, 소매시장과 도매시장 완전 분리가 절실하다는 의견이었으며

넷째,  재래시장엘 가보면 전문성을 살린 자리배치가제대로 안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재래 시장의 특성상 혼합된 영업행위 일수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전문 생선가게
거리로 해서 전문 채소가게거리, 전문 살아있는 민물고기거리, 등 전문거리가 아쉽다는 의견이였습니다. 이에 본의원은  전문 기능성 먹거리 거리등 현대 월빙에 맞는 
전문먹거리 점을 활성화함으로써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재래시장에 대한 향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아이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는데 동의합니다.

다섯째,청결상태라 했습니다.재래시장의 최대의 숙원이자
과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본의원이 살펴본 바에 의하면 대형마트는 계속적인 위생 검열로 인한, 나름대로 위생이 잘 되어있다라고 소비자는 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메스컴에서 대형마트 상대로 식품위생에대해서 수시로 감시를 하고 또한 방영됨으로써 간접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지역 재래시장도 모든 식품이나 어패류에서 대장균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하여 언론에 공개하는 방식을 채택하므로 재래시장도 식품위생 사각지대에서 안전하다는걸 보여줄 필요가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정부는 그동안 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라도 재래시장 살리는데 온 힘을 쏟아 주신데 대해 본의원은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하다고 말씀드립니다. 
앞으로 재래시장이 환골탈퇴해서 살아있고 탄력 있는 시장을 위해 한가지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 관한 특별기금을 조성하자는 제안입니다. 그 특별기금으로 지역대학에 용역을 줘서 좀더 살아있는 시장, 서민의 시장, 지역경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시장으로 탈바꿈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재래시장 현실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또한 특별 기금이 민,관,학이 협동하여 지역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터전을 마련함으로서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길이도 하다는 겁니다. 이제는 지방 자치시대입니다. 보조금에 많이 의존하는 현실태에서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길은, 특별기금 조성에 있다고 본 의원은 생각합니다. 
선배동료의원님들 재래시장특별기금에 여러분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2,182, 244/273페이지